반응형
노후 생활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두 축, 국민연금과 기초연금!
과연 이 두 연금을 같이 받을 수 있을지, 어떤 조건과 기준이 필요한지 많은 분들이 궁금해하십니다.
이번 글에서는 국민연금과 기초연금의 차이점부터 동시 수령 조건, 감액 기준, 신청 방법까지
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.
1. 국민연금과 기초연금의 차이점
- 국민연금: 일정 기간 보험료를 납부하고 만 62세 이상이 되면 수령 가능한 사회보험제도
- 기초연금: 만 65세 이상 저소득층에게 지급되는 복지성 현금급여
2. 국민연금 + 기초연금, 동시에 받을 수 있을까?
가능합니다! 하지만 다음과 같은 조건이 충족되어야 합니다.
- 만 65세 이상
- 국민연금 수령자 또는 예정자
- 소득인정액이 기준 이하 (2025년 기준 단독가구: 약 213만 원, 부부가구: 340만 원)
3. 국민연금 수령 시 기초연금 감액 기준
기초연금은 소득인정액에 따라 수급 여부와 금액이 결정됩니다.
국민연금도 소득으로 간주되기 때문에 수령액에 따라 기초연금이 감액되거나 제외될 수 있습니다.
- 국민연금 수령액이 높을수록 기초연금 감액 폭 커짐
- 기초연금 최대 감액: 단독 기준 월 40만 9,960원까지 가능하나, 조건에 따라 달라짐
- 부부 모두 수령 시 추가 감액 발생 (최대 20%)
반응형
4. 기초연금 재산 기준 및 소득인정액 계산
기초연금 수급자는 소득인정액 = 소득평가액 + 재산의 소득환산액으로 계산합니다.
- 재산의 소득환산율: 연 5% (월 0.416%)
- 재산 공제 기준: 단독가구 약 1억 800만 원, 부부가구 1억 6,100만 원까지 일부 공제
5. 연금 납입기간과 수령연령
- 국민연금: 10년 이상 납입 후 만 62세 이상 수령
- 기초연금: 만 65세 이상 & 소득인정액 기준 충족 시 수급 가능
6. 연금 지급일 및 방식
- 국민연금 지급일: 매월 25일
- 기초연금 지급일: 동일하게 25일
- 지급 방식: 본인 명의 통장으로 자동 입금
7. 연금의 상속 여부
- 국민연금: 사망 시 유족연금으로 전환 가능 (배우자, 자녀 등)
- 기초연금: 상속 불가. 사망 시 지급 종료
8. 신청 방법
- 국민연금 신청: 국민연금공단 공식 홈페이지
- 기초연금 신청: 복지로 사이트 또는 주소지 관할 주민센터
9. 꼭 알아두세요!
- 국민연금을 받고 있어도, 기초연금은 별도로 신청해야 수급 가능
- 기초연금 감액 기준은 국민연금 외에도 다른 소득과 재산에 따라 결정됨
- 모의계산은 국민연금공단 또는 복지로에서 가능
관련 링크 모음
반응형